본문 바로가기
북클럽

TIL #10 IT 5분 잡학사전 30~34

by 카너먼 2023. 1. 22.

오늘 TIL 3줄 요약

  • 깃과 깃허브가 없다면 서로 무엇이 수정됐는지 알기 힘들기 때문에 필요하다.
  • SQL을 편하게 하는 대신 ORM이라는 방법이 있지만, 그래도 SQL은 알아야 한다.  
  • NoSQL vs SQL: 우위를 따지기보다 용도에 맞게 사용하자.

TIL (Today I Learned) 날짜

  • 2023.01.22

오늘 읽은 범위

  • 에피소드30: 코로나가 준 레거시 시스템의 교훈
  • 에피소드31: 데이터와 단짝 친구, SQL
  • 에피소드32: NoSQL이 뭐죠?
  • 에피소드33: 깃 & 깃허브, 똑같은 거냐고?
  • 에피소드34: 버전을 표기하는 방법도 있어요?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 버전을 표기하는 방법:  SemVer(Sementic Versioning Specification)
  • 깃과 깃허브의 차이: 깃은 버전 관리를 하고, 깃허브는 그 저장소이다.
  • NoSQL의 종류: 도큐먼트 형태(몽고디비), 키-값 형태(카산드라디비, 다이나모디비), 그래프 형태 등이 있다.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 ORM은 개발자들을 편하게 해주는 기술이다. 하지만 의존이 심해지면 안된다.
  • 모든 기술들은 기초가 있고, 응용이 있다.
  • 기초를 먼저 이해해야 유연성을 길러 다양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 Gitlab: 깃랩은 깃랩 사가 개발한 깃 저장소 및 CI/CD, 이슈 추적, 보안성 테스트 등의 기능을 갖춘 웹 기반의 데브옵스 플랫폼으로써, 오픈 소스 라이선스 및 사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를 사용한다.
  •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A%B9%83%EB%9E%A9
  • GitBucket: 빗버킷은 아틀라시안 소유의 웹 기반 버전 관리 저장소 호스팅 서비스로서, 깃 버전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소스 코드 및 개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한다. 빗버킷은 상용 플랜과 무료 계정을 동시에 제공한다. 2010년 9월 기준으로 무료 계정의 경우 무제한 수의 개인 저장소를 제공한다.
  •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B%B9%97%EB%B2%84%ED%82%B7
  • Redis: 레디스는 Remote Dictionary Server의 약자로서, "키-값" 구조의 비정형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오픈 소스 기반의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다. 2009년 살바토르 산필리포가 처음 개발했다. 2015년부터 Redis Labs가 지원하고 있다.
  •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B%A0%88%EB%94%94%EC%8A%A4

오늘 읽은 다른사람의 T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