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sP #6
오늘 공부한 내용
▣ 02장: 분석 마스터플랜
02 _ 분석 거버넌스 체계 수립
__1. 거버넌스 체계 개요
__2. 데이터 분석 성숙도 모델 및 수준 진단
__3. 분석 지원 인프라 방안 수립
__4. 데이터 거버넌스 체계 수립
__5. 데이터 조직 및 인력방안 수립
__6. 분석 과제 관리 프로세스 수립
__7. 분석 교육 및 변화관리
__핵심문제
__기출유형문제
__예상문제
오늘 공부한 내용 정리
거버넌스 체계: 기업에서 의사 결정을 위한 데이터 분석과 활용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
★거버넌스 체계 구성 요소:
조직, 과제 기획 및 운영 프로세스, 분석 시스템, 데이터, 분석 관련 교육 및 마인드
★★★분석 준비도: 6가지
문화, 데이터, 인프라, 기법, 업무, 인력
★★★분석 성숙도
소프트웨어 공학의 CMMI모델 활용
데이터 분석 성숙도 = 비즈니스, 조직 및 역량, IT부문
도입 -> 활용 -> 확산 -> 최적화
★★★분석 수준 진단결과(4분면)
데이터 거버넌스 구성 요소
원칙, 조직, 프로세스
데이터 거버넌스 체계
1. 데이터 표준화: 데이터 표준용어 설정, 명명 규칙 수립, 메타 데이터, 데이터 사전 구축
2. 데이터 관리체계: 데이터 정합성, 효율성 위한 관리, 데이터 생명주기 관리 방안
3. 데이터 저장소: 전사 차원, 데이터 구조 변경에 따른 사전 영향 평가 수행
4. 표준화 활동: 표준 준수 여부를 주기적으로 점검, 교육 진행
★데이터 분석 조직
목표
역할
구성
★★★데이터 분석 조직 유형
1. 집중형
우선순위 정해 추진 가능
하지만 업무가 중복, 이원화 가능성
2. 기능 중심형
전사적 관점에서 분석 불가
중복 업무 수행 가능성이 높다.
3. 분산형
우선순위 선정 가능
실무에 신속하게 적용 가능
★★분석 과제 관리 프로세스
과제 발굴 = 분석 과제 확정
과제 수행 = 팀 구성, 결과 공유/개선
★분석 도입에 따른 문화적 대응
준비 - 도입 - 안정
분석 교육: 단순한 툴 사용이 아닌 분석 역량 확보 및 강화
분석 기획자: 큐레이션
분석 실무자: 분석 기법 및 도구
업무 수행자: 분석 기회 발굴 및 시나리오 작성법
- 저자
- 전용문, 박현민
- 출판
- 위키북스
- 출판일
- 2023.01.16
※ 해당 책으로 공부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