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3

TIL #12 IT 5분 잡학사전 35~38 오늘 TIL 3줄 요약 비밀번호 시스템은 해시 함수를 이용해 저장한다. 프로그래밍을 쉽게 하려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을 이용하자.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배워서 버그 발생을 줄이자.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3.01.24 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35: 비밀번호는 어떻게 저장될까? 에피소드36: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 뭐죠? ① 에피소드37: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 뭐죠? ② 에피소드38: 함수형 프로그래밍이 뭐죠?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해쉬 함수와 레인보우 테이블 그리고 솔트(Salt) 클래스는 속성은 같지만 데이터는 다른 녀석들은 위한 공장이다. 코드 중복을 해결하기 위해 상속이 있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함수 중심으로 코드를 적는 방식으로 선언형 프로그래밍의 콘.. 2023. 1. 24.
TIL #11 IT 5분 잡학사전 미션 Mission #01 🔥 미션 Mission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3.01.23 Github에 첫 커밋하기 2023. 1. 24.
TIL #10 IT 5분 잡학사전 30~34 오늘 TIL 3줄 요약 깃과 깃허브가 없다면 서로 무엇이 수정됐는지 알기 힘들기 때문에 필요하다. SQL을 편하게 하는 대신 ORM이라는 방법이 있지만, 그래도 SQL은 알아야 한다. NoSQL vs SQL: 우위를 따지기보다 용도에 맞게 사용하자.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3.01.22 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30: 코로나가 준 레거시 시스템의 교훈 에피소드31: 데이터와 단짝 친구, SQL 에피소드32: NoSQL이 뭐죠? 에피소드33: 깃 & 깃허브, 똑같은 거냐고? 에피소드34: 버전을 표기하는 방법도 있어요?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버전을 표기하는 방법: SemVer(Sementic Versioning Specification) 깃과 깃허브의 차이: 깃은.. 2023. 1. 22.
TIL #09 IT 5분 잡학사전 26~29 오늘 TIL 3줄 요약 알고리즘을 외우기보다는 콘셉트를 이해하자 추상 자료구조(ADT)는 가상의 자료 저장 공간이다. 클린 코드는 읽기만 해도 바로 이해되는 코드이다.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2.01.21(토) 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 26. 정렬 알고리즘이 뭐죠? 에피소드 27. 스택,큐가 뭐죠? 에피소드 28. 해시 테이블이 뭐죠? 에피소드 29. 개발자 필수 소양, 클린 코드!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버블 정렬: 왼쪽, 오른쪽 양쪽을 보면서 정렬함. 선택 정렬: 가장 작은 데이터 또는 가장 큰 데이터의 위치를 따로 기억하는 방식으로 사이클이 진행됨. 삽입 정렬: 교환이 아니라 밀어 넣음. 밀어 넣기 작업이 끝나면 그 사이클은 끝난다. 스택은 위에서 데이터를.. 2023. 1. 21.
TIL #08 IT 5분 잡학사전 Quiz 02 Question 01 프레임워크란? 누군가 정한 규칙에 따라 사용하고 있는 도구 Question 02 라이브러리란? 사용자가 모든 결정을 다 내리고 있는 도구 Question 03 앱과 앱을 연결하는 매개체 OOO은 키보드와 그 원리가 같다. API Question 04 플래시에 대한 내용이 아닌 것은? Adobe에서 만들었다 Question 05 HTTP는 무엇의 줄임말인가?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Question 06 쿠키 규칙이 아닌 것은? 쿠키는 반드시 동의를 받은 후에만 수집할 수 있다. Question 07 서버리스는 서버가 없다는 뜻이다. No Question 08 서버리스 서비스를 바꾸는 것은 매우 쉽다. No Question 09 이미지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 2023. 1. 20.
TIL #07 IT 5분 잡학사전 22~25 오늘 TIL 3줄 요약 알고리즘과 자료구조의 중요성 램은 휘발성 메모리이며, 램 덕분에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접근속도가 빠르다. 이진검색은 거대한 배열을 다룰때 효과적이다.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3.01.19 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22: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은 필수라고? 에피소드23: 배열이 뭐죠? 에피소드24: 알고리즘의 속도는 어떻게 표현할까? 에피소드25: 검색 알고리즘이 뭐죠?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이진검색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싶다면 배열은 항상 정렬되어 있어야 한다. 이진검색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는 O(logN) Big-O는 실행 단계에 영향을 주는 요소만 본다. for문과 같이 중첩문이 있는 경우는 다르다. 배열은 맨 앞부터 차곡차곡.. 2023. 1. 19.